대한불교조계종 연주암
대한불교조계종 연주암 things to do, attractions, restaurants, events info and trip planning
Plan your stay
Posts
(2020.05) The temple is closed due to COVID-19. Since there are no gates in this temple, you can enter their property, but you can't get inside their buildings. (2020.07) The Jogye-jong decided to transfer the control of this temple to a local diocese. Which means that this temple is no longer getting auditing. A Buddhism temple located near the peak of the Gwanak mountain. The temple was built in A.D 677. And since the temple is an ~암, it is supposed to be very small. But, since there are many hikers visiting this temple, they have huge buildings just like a regular temple. The temple is a memeber of the Jogye order, which is the biggest buddhism in South Korea. The Jogye is notorious for never engaging in their member temple's management. However, this temple is directly owned by the Jogye, so they have very clear accountings. They offer free lunch from 12:00 to 13:00 for poor travelers. However, since it's 21c, they offer it to every hikers and accepts donation. At least 5000 won is recommanded. They also have a temple stay program. You can find the details and have reservations at the Jogye order's website. The peak is about 10mins away from this temple. You can find the path way to the peak behind the temple. There is a small temple building next to the peak, which belongs to this temple.
김도형
00
관악산의 최고봉인 연주봉(629m) 절벽 위에 연주대(戀主帶:경기도 기념물 제20호)가 자리하고 있고, 그곳에서 남쪽으로 약 300m 떨어진 지점에 연주암이 있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며 나한도량(羅漢道場)으로서 알려져 있다. 연주암은 677년(문무왕 17)에 의상(義湘:652~702)이 창건한 절이다. 의상은 관악산 연주봉 절벽 위에 의상대를 세우고 그 아래 골짜기에 절을 짓고 관악사(冠岳寺)라고 이름을 지었다. 그 이후부터 고려 말까지는 거의 폐사되다시피 하다가 1392년(태조 1) 태조 이성계가 의상대와 관악사를 중수하고는 조선왕조의 번창을 기원하는 200일기도를 하였다. 연주대는 이성계가 무학대사의 권유로 의상대 자리에 석축을 쌓고 30㎡ 정도의 대를 구축하여 그 위에다 암자를 지은 것이다. 1411년(태종 11), 동생인 충녕에게 보위를 양보하고 전국을 떠돌던 양녕과 효령이 이곳에 머무르면서 관악사를 현위치로 옮기고 연주대의 이름을 따서 연주암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위치를 바꾼 이유는 관악사의 원래 위치에서는 왕궁이 바로 내려다보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데 관악사의 이름이 연주암으로 바뀐 유래에 대하여는 다른 견해가 있다. 고려의 충신이었던 강득룡(康得龍)과 서견(徐甄)·남을진(南乙珍) 등이 그 자리에서 고려의 수도였던 송도(松都)를 바라보며 통곡하였는데, 이 때문에 ‘주인을 그리워한다’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라는 것이다. 이 절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여러 차례 중수를 하였는데, 1868년(고종 5) 중수작업 때에는 명성왕후의 하사금으로 극락전과 용화전(龍華殿)을 신축하였으며, 1918년에는 경산(慶山)의 주도 아래 중수 작업이 이루어졌고, 1928년에는 재운(在芸)에 의해, 1936년에는 교훈(敎訓)에 의해 새로 건물을 세우거나 수리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본당인 대웅전과 그 뒤편에 금륜보전(金輪寶殿:삼성각)이 있고 연주대에 응진전(應眞殿)이 있다. 금륜보전은 현재의 건물 중 제일 오래된 건물로서 1929년에 신축한 것이고 대웅전 및 기타 건물은 1970년대 이후에 지은 것이다. 천수천안 관세음보살을 모신 천수관음전과 효령대군 영정(경기도 지방문화재 제81호)을 모신 효령각은 1996년에 지어진 건물이다. 대웅전 앞에 있는 높이 3.2m의 고려시대 양식의 삼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4호)은 효령대군이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탑은 전체적으로 균형감이 뛰어나며 단아한 느낌을 주고 있다. 16나한의 모습을 비단에 그린 탱화가 응진전에 봉안되어 있고, 약사여래 석상이 응진전 옆의 암벽에 마련된 감실에 봉안되어 있는데 고려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석상은 기복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연주암 [戀主庵]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Pepin Min
00
오랜만에 등산을하니 너무 좋다 오랜만에 맑은공기도 마시고 새도보고 꿈틀대는 애벌레도 만나고~~~ 흰옷을입고가면 가끔 흰애벌레가 옷에붙기도 한다는 ㅋㅋ 중간중간 약수터가2군데가 있고 쉴의자가 곳곳에 있다. 그러나 계단이 너무 많은건 함정아님 함정~~^^!!! 무릎이 안좋다면 악이 붙은 산은 피하란다~~~ 보통 산에 악이라는 단어가 붙으면 등산코스가 어려울수도 있다고~~^^ 그래도 아이가 올라가기 힘들어하니 어른들이 힘내라고 떡도주시고 파그도 붙여준다고 하고 힘내라고 응원도 해주시고 오다가다 물7병을 다마셔 물이 없자 물도 나누어주신다. 정감있는 등산아기도 했다. 산에 특별한 행사가 있다면 가볼만하다. 그냥 등산갈때보다 이벤트를주는느낌이다. 연주대라는곳까지 올라가니 점심시간에는 식사도 주시더라~~ 늦게가서 3시에 남은밥을 구경했다.... 이시간에도 드시는분이계셨다 ㅋㅋㅋ 산에가보니 물이랑 목을 축이는 과일이나 오이가 정말가져가면 좋더라~~~^^ 산에오르니 다 꿀맛이었다~~~ 흔한김치볶음밥에 계란후라이도 정말 맛있었다. 더워진다면 얼음물을 얼려가도 좋을듯하다 금방 녹으니까~~~^^5월에 산사음악회가있다고 한다. 혹시 등산계획이 있다면 참고하시면 좋을듯하다~~~
김효진
00
蓮珠庵が位置している冠岳山は昔から開城の松岳山、坡州の紺岳山、抱川の雲岳山、加平の華岳山とともに京畿5岳の一つと呼ばれた。 ソウルの南側の境界を形成しているこの山は、幹が果川の清渓山を経て水原の光教山に触れている。 随所に現れた岩峰が深い谷間と調和し、険しい山勢を成しているが、山の規模がそれほど大きくなく、都心から近いため、家族連れの日帰り登山対象地として多くの人が訪れる。 蓮珠庵をはじめとする大小の寺院と庵があるが、ギリギリの崖の上に位置している蓮珠庵は冠岳山のすべての登山路が集結するところだ。 蓮珠庵は冠岳山の最高峰である蓮珠峰に位置している蓮珠台の南側地点にある。 蓮珠庵は冠岳山のすべての登山路が集結するところだが、南側の稜線に沿って行けば将軍岩にたどり着き、北側の稜線に沿って行けばマダン岩に出会うことになる。 また、左側にはムノミ峠を過ぎて三聖山に着くことになり、右側には紫霞洞川が広がっている。 蓮珠庵から紫霞洞川渓谷に沿って果川市に下るまで1時間ほどかかる。 蓮珠庵は本来、新羅文武王17年(677年)義湘大師が創建したと伝えられている。 当時、冠岳寺と呼ばれた今日の蓮珠庵は、朝鮮太宗11年(1411年)太宗の第一、第二王子である譲寧大君と孝寧大君が現在の場所に移したという。 頂上に隣接した演奏台は冠岳山の代名詞のようになっている絶景で、ここに登るとソウル市街地が一望できる
문영재
00
등산을 자주 안하시는 분들도 쉽게 다녀올만한(말은 이렇게 했지만 쉽지 않아하더군요...) 관악산이 최고가 아닐까 싶습니다. 서울대쪽은 국기봉이 가깝고 정부청사쪽은 관음사와 정상이 가깝습니다. 코스는 수도 없이 많고 잘못가면 험난한 길도 많습니다. 만약 길을 잃은거 같으면 가까운 등산객에게 길을 물으며 가시기 바랍니다 (모두 너무 친절하셔요.... 가다가 다시 마주쳐도 반갑게 인사하고 간식 나눠먹는 사이가 된답니다) 서울대쪽 주차장이 유로라는 말에 정부청사 쪽으로 갔었는데 정부청사와 보건소 주차장이 무료더군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길가에는 유료에요 무조건 주차장으로 들어가셔야되요 안그러면 관리하시는 분이 따라오셔요😐) 연주암에서 12시~1시 사이 공양밥을 주고있습니다. 가보시는 것도 좋은 추억이 될꺼 같습니다🙆♂️ 이만
곽햄
00
누구나 가고 싶어 하지만 아무나 갈수 있는곳^^ 주말이라 많은 외국인들과 산을 사랑하는 분들이 많이 올라오시는 군요. 작년에는 험한 코스로 오르다가 늦은 시간이라 중도 포기한 아쉬움이 있었는데 이번 코스는 오르기좋은 계단들로 구성된 산악코스라 편안하게 오른듯 합니다. 정상 관악산 연주대에서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긴줄을 제외하고는 편안하게 오르실수 있는 코스인듯 합니다. 연주암에서 판매하는 3천원짜리 컵라면에 다들 쓰러지는듯 하군요. 부지런히 가방에 먹거리들을 가지고 등정후에 연주암의 불당에 앉아 식사를 하는데 내어주고 배려해주는 연주암의 포근함이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좋은 추억을 쌓으실수 있는 코스인듯 합니다.
도사아몬드
00
Nearby Attractions Of 대한불교조계종 연주암
Gwanaksan
Gwanaksan Yeonjudae

Gwanaksan
4.6
(218)
Click for details

Gwanaksan Yeonjudae
4.6
(96)
Click for details
- Please manually select your location for better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