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munsa
Unmunsa things to do, attractions, restaurants, events info and trip planning
Plan your stay
Posts
몸과 마음이 절로 정화되는 아름다운 정원과 사찰 전각 입구에 펼쳐진 솔바람이 멋진 곳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호거산(虎踞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560년(진흥왕 21) 한 신승(神僧)이 대작갑사(大鵲岬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고, 591년(진평왕 13) 원광(圓光)이 크게 중건하였다. 원광은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지어 이곳에서 아주 가까운 가슬갑사(嘉瑟岬寺)에서 귀산(貴山) 등에게 주었다고 전한다. 937년(태조 20)에는 당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후삼국의 통일을 위해 왕건을 도왔던 보양(寶壤)이 중창하고 작갑사(鵲岬寺)라 하였으며, 이 때 왕이 보양의 공에 대한 보답으로 쌀 50석을 하사하고 ‘운문선사(雲門禪寺)’라고 사액한 뒤부터 운문사라고 불렀다. 1076년(문종 30)에 원응국사(圓應國師)학일(學一)이 중창했으며, 1105년(숙종 10)에는 원진국사(圓眞國師)가 송나라에서 천태교관(天台敎觀)을 배운 뒤 귀국하여 이곳에 머물면서 중창하였다. 그 뒤 조선시대에 들어와 1690년(숙종 16)에 설송(雪松)이 중건한 뒤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임진왜란 때 당우 일부가 소실되었으나, 현재 대웅보전·작압전(鵲鴨殿)·미륵전·오백나한전·금법당(金法堂)·만세루(萬歲樓)·관음전·명부전·강원·요사채 등의 옛 건물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전체 17동의 전각이 있는 큰 사찰이다. 이 중 대웅보전은 보물 제835호로 지정되어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193호로 지정된 금당 앞 석등을 비롯하여 보물 제316호로 지정된 원응국사비(圓應國師碑), 보물 제317호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318호인 사천왕석주(四天王石柱), 보물 제678호로 지정된 삼층석탑, 보물 제208호로 지정된 동호(銅壺) 등이 있으며, 오백나한전 안의 나한상은 보기 드문 작품이다. 대웅전 앞에 있는 2기의 3층석탑은 대웅전이 위치한 자리의 지세가 행주형[行舟形: 전복되기 쉬운 배 모양]의 흉맥이라 하여 그 지세를 누르기 위해서 양쪽에 탑을 세운 것이라고 한다. 만세루는 조선 초기의 건물로 우리나라 사찰건물 중 가장 큰 것이라고 한다. 입구에 천연기념물 제180호로 지정된 처진 소나무가 있다. 부속 암자로 절의 동쪽에 청신암(淸神庵)과 약수로 이름난 내원암(內院庵), 북쪽에 북대암(北臺庵), 동남쪽에 사리암(舍利庵), 서쪽에 호거암(虎踞庵)이 있다. 이 절은 1958년 불교정화운동 이후 비구니 전문강원으로 선정되어 승려교육과 경전연구기관으로도 유명하다.
Hyunwook KimHyunwook Kim
00
What a beautiful temple in a scenic area. The mountains were breathtakingly gorgeous. I was lucky enough to come in a clear day. There's parking in two different areas, so you can take a 20 minute walk to the temple or you can drive to the entrance. I recommend the walk if it's possible. There are some off limits areas, but it is well marked. Have a good time!!
Julia JohnsonJulia Johnson
10
운문사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호거산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560년(신라 진흥왕 21)에 한 신승이 창건하였다. 608년(진평왕 30)에 원광 국사가 제1차 중창하였다. 원광국사는 만년에 가슬갑사에 머물며 일생 좌우명을 묻는 귀산과 추항에게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주었다고 한다. 제2차 중창은 당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후삼국의 통일을 위해 왕건을 도왔던 보양(寶壤)이 오갑사(五岬寺)를 중창하였다. 943년 고려 태조 왕건은 보양의 공에 대한 보답으로 운문선사(雲門禪寺)라 사액하고 전지(田地) 500결을 하사하였다. 제3차 중창은 1105년(고려 숙종 10) 원응국사가 송나라에서 천태교관을 배운뒤 귀국하여 운문사에 들어와 중창하고 전국 제2의 선찰로 삼았다.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 때 당우 일부가 소실되었다. 1690년 (숙종 16) 설송(雪松)대사가 제4차 중창을 한 뒤 약간의 수보(修補)가 있어 왔다. 1835년 운악(雲岳)대사가 제5차 중창을, 1912년 긍파(肯坡)대사가 제6차 중창을 하였다. 1913년 고전(古典)선사가 제7차 수보하였고, 비구니 금광(金光)선사가 제8차 수보를 하였다. 1977에서 98년까지 명성스님이 주지로 있으면서 대웅보전과 범종루와 각 전각을 신축, 중수하는 등 경내의 면모를 한층 일신하였다. 현재는 30여 동의 전각이 있는 큰 사찰로서 규모를 갖추었다. 운문사는 1958년 불교정화운동 이후 비구니 전문강원이 개설되었고, 1987년 승가대학으로 개칭되어 승려 교육과 경전 연구기관으로 수많은 수도승을 배출하고 있다.
SeongHo JEONGSeongHo JEONG
10
It's good to be at a temple because I feel relax. You let go of your anger and have peace in your heart. I have time to look back on myself, and I'm lost in thought. It is a temple with many treasures and attractions. I'm happy to have had a healing time.
Ej CaliwagEj Caliwag
00
생각했던것 보다 큰 규모에 놀라웠어요 작년 9월26일 주말에 방문한 사찰이었는데 규모에 놀라고 제법 유명한 사찰인것을 알았어요 운문사는 산 계곡에 있는 사찰이 아니라 산주위에 안에 평지 넓게 자리잡은 대형 사찰 이었습니다 사찰 입구를 알리는 일주문을 지나 사찰경내까지 가는 소나무길 숲길이 매우 좋았습니다 그래서 일주문 입구에 주차를 하시고 걸어서 사찰까지 가시는것을 추천드려요 주차하고 사찰까지 30분정도 걸었는것 같은데 소나무 숲길이며 오르는길에 나무들이 너무나도 운치있고 좋아요 사찰에 도착해서 경내를 둘러보면서 생각했던것보다 큰 규모와 법당의 크기에 놀랍웠구요 그리고 전체적인 사찰 넓이 면적 많이 크더군요 사찰의 면적 법당의 수 누각의 크기로 본다면 경상남도 북도 이쪽에서는 가장 큰 사찰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비구니스님 사찰이어서 그런지 경내도 깨끗하고 관리가 잘 되었고 조경도 예쁘고 볼것도 많았습니다 제가 방문했을땐 주말 오후1시 정도 시간대라 사람들 관광객들이 너무 많아서 한적한 사찰을 보는게 좀 아쉬웠는데요 다음에는 한적한 평일날 꼭 다시 한번 가고 싶은 사찰 이었습니다 사찰 절을 떠나서 관광으로 여행지로서 가족들과 함께 둘러볼만한 좋은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찰여행가사찰여행가
00
Unmunsa is an old and rather big temple, currently one of the biggest Buddhist academies in Korea. It is surrounded by mountains and forest. Very pleasant to walk around.
Natalia OnishchenkoNatalia Onishchenko
00
Nearby Attractions Of Unmunsa
Unmunsa Temple Bukdaeam

Unmunsa Temple Bukdaeam
4.5
(35)Click for details
Basic Info
Address
264 Unmunsa-gil, Unmun-myeon, Cheongdo-gu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Map
Phone
+82 54-372-8800
Call
Website
unmunsa.or.kr
Visit
Reviews
Overview
4.5
(1.5K reviews)
Ratings & Description
cultural
outdoor
family friendly
Description
Unmun-sa is a Buddhist temple located on the southernmost part of the Taebaek Mountains i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It was built in the 21st year of the reign of King Jinheung.
attractions: Unmunsa Temple Bukdaeam, restaurants:

- Unable to get your location